본문 바로가기

생활지식

세계 인구 증가 - 무엇이 문제인가?

세계 인구 증가 - 무엇이 문제인가?


현재 세계 인구는 2017년 12월 기준으로 76억 명이라고 합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아직 지구가 지금의 몇 배를 수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문제는 인구 밀도가 일부 지역에 심하다는 것입니다. 세계 인구가 지구 전체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도시로 집중되는 것은 밀도를 높이며 여러가지 문제를 가져 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생존과 굶주림 사이에 균형이 깨어진 상태입니다. 세계 인구 통계에 의하면 세계 인구의 70퍼센트가 제 3세계라고 불리우는 개발 도상국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이런 나라들에서는 매 분당 약 3명의 아이가 태어나며 급격한 인구 증가로 식수의 부족과 식량 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와 같은 저개발 국가에서는 들에서 열심히 일하고 돌아왔는데 씻을 물이 없다거나 마실 물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을 구하기 위해 수 킬로미터를 걸어가서 양동이에 들고 와야 하는 아프리카 사람들을 생각해 보십시오! 식량도 지구 한 곳에서는 남아 돌지만 아프리카 같은 다른 곳에서는 굶주림으로 뼈만 남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식량 증산이 되어야 하지만 치수가 안된 나라들에서는 심한 가뭄으로 고통 받는 일이 허다합니다.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이 지구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인구가 살 수 있지만 현실과는 거리가 먼 이야기입니다. 선진국에서는 식량이 없으면 수입을 해 오면 되지만 가난한 나라에서는 그런 돈이 없습니다. 특히 이런 가난한 나라들은 식량 생산을 위해서 숲이나 산을 개간하여 울창한 나무는 베어지고 홍수가 나면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기도 하지요. 



1660년 경에는 세계 인구가 5억 명 정도 밖에는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350년이 지난 현재 15배가 되었다는 것은 대단한 인구 증가율을 나타냅니다. 그 당시에는 인구 증가율이 0.1프로 였다고 하는데 10억의 인구가 되는데 170년이 걸렸다고 하지요. 


이후 1930년 경에 20억이 되었고, 1960년 경에 30억이 되었고, 40억이 된 것은 1975년 이었습니다. 20117년 말에 76억이 되었으니 80억을 돌파하는 것은 시간 문제입니다. 그러나 가족 계획을 통해 인구 증가을 억제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국가적인 계획이 있지만 어떤 나라들에서는 대가족을 장려하는 종교 교직자들이 반대를 하여 문제를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일부 나라에서는 자녀를 부와 재산으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의학의 발달로 유아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도 인구 증가에 한 몫을 해왔습니다.



지금도 많은 선진국들은 2 자녀만 낳아 잘 기르자고 하지만 개발 도상국에서는 4-6명은 낳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인구가 줄고 있어 실감이 안 나지만 세계 현실은 이러합니다. 세계 인구 증가는 세계 빈곤과 세계 기아를 가져 옵니다. 대책 없는 급격한 세계 인구 증가는 교육, 직업, 경제 발전에도 많은 문제를 가져 옵니다.   

 


 지구의 모든 부를 균등히 나눈다면 먹고 사는데 문제가 없지만, 이 점과 관련해서도 현실은 요원합니다. 수백만의 사람들이 인구 과잉 지역에 살고 있으며, 부유한 나라들에서는 인구가 줄고 있지만 가난한 나라들에서는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악 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구 증가를 조절하기 위해 국제적인 노력이 기울여 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7년 말로 세계 인구가 76억이 되었다는 것은 현 세상이 안고 있는 문제 중에서 큰 난제 중에 하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전 글: 

세계 부채 규모와 다가올 금융 위기

북미정상회담 / 북한은 무엇을 요구할까

미국 경제 붕괴를 재촉하는 IMF SDR 채권 발행